ChatGPT5 [LLM] 새로 출시된 ChatGPT의 공부 도우미 모드, 간단 후기 연구실 생활로 바쁘다보니 블로그에 글도 많이 못 쓰고 있었다.마침 얼마 전 첫 논문을 제출했는데, 오늘 아침에 ChatGPT에 Study 모드가 나왔다는 기사를 읽었다.그래서 짧은 사용 후기 및 대략적인 가이드를 남겨보려고 한다.더보기블로그를 처음 작성하기 시작했을 땐 공부한 걸 정리하자는 목적이 강했다. 그런데 어느 시점(아마 채용 후기를 올렸을 때 즈음)부터 조회수가 신경쓰이기 시작했고, 그러다 보니 방문 수가 많았던 ChatGPT 관련이라던가, 대기업 면접 후기 등에 집중하게 되었다.. 중간중간 공부하고 정리한 글들을 올렸는데 조회수가 10~100배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, 나로써도 초심을 잃을 수밖에 없게 되는 것 같다. 그래도 종종 읽은 논문 같은 건 정리해보려고 한다.기존 공부 앱들최근엔 LLM.. 2025. 7. 31. [LLM] OpenAI 코딩 에이전트, ChatGPT Codex 기능 출시, 짧게 써보고 느낀 후기 바빴어서 글을 굉장히 오랜만에 쓴다. OpenAI가 코딩 에이전트 Codex를 깃허브를 통해 공개했고, 6월 4일 (현지시간 6월 3일) ChatGPT Plus에 이 기능을 공개했다. https://github.com/openai/codex GitHub - openai/codex: Lightweight coding agent that runs in your terminalLightweight coding agent that runs in your terminal - openai/codexgithub.comhttps://openai.com/index/introducing-codex/ 나는 로컬로 써보기까진 귀찮아서 안 쓰고 있다가 ChatGPT Plus에 공개되어서 한 번 사용해봤다. CodexCodex는.. 2025. 6. 5. [LLM] ChatGPT는 이제 모든 대화를 기억할 수 있다. 메모리 최신업데이트에 대한 탐구 (+Context Length, RAG) ChatGPT를 사용하다가 메모리가 업데이트된다는 알림을 다들 받아봤을 것이다.업데이트된 메모리를 설정칸에서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뜬다. 이렇게 ChatGPT를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GPT가 Memory 라는 기억저장소에 기억하게 된다. 이 방식의 원리와 목적은 너무나도 당연해보인다. 목적 ▶ 사용자의 ChatGPT 사용 경험성을 높이기 위해. 기본적인 정보를 사용자가 계속 제공할 필요가 없음.원리 ▶ 매 입력, 혹은 새로운 채팅마다 '메모리'에 저장된 정보를 프롬프트로 GPT에게 계속 입력 내 추측으론 ChatGPT, 그리고 다른 LLM들의 놀라울 정도로 길어진 Context Length가 이 방식을 가능하게 했다. (ChatGPT 초창기엔 이런 메모리 기억 기능이 없었다.) 그런데 내.. 2025. 4. 14. [LLM] OPENAI 새로운 모델 ChatGPT o1 사용 후기 블로그에 글을 거의 세 달만에 쓰는데 그 사이에 방문자 수가 꽤 늘었다. 글을 안 썼는데 왜 늘었는지는 모르지만.. 아무튼 그동안 쓸 글들이 엄청 밀려있는데 우선 빠르게 쓸 수 있는 글부터 써본다. https://openai.com/index/introducing-openai-o1-preview/9월 12일, OPENAI가 GPT의 뉴 버전인 o1을 공개했다. 정확히 말하면 Preview인데, 한 번 직접 사용해보고 뭐가 달라졌는지 살펴보고자 한다. 우선 위 링크에서 소개글을 정리해보면, 답변을 하기 전 생각을 하는 시간이 더 길어졌다고 한다. 계산 속도가 느려진 것이 아닌, 이 답변이 맞는지 틀렸는지 점검도 하고, 더 좋은 답변은 없는지 고민도 하느라 답변 시간이 더 느려졌다는 것이다.그러면서 특히 코.. 2024. 9. 15. Colab에 도입된 AI 사용해보기 - ChatGPT, Bard 와 코드 생성 수준 비교 Colab에 코드를 생성해주는 Colab AI가 생겼다. 사용하기도 아주 간편하게 만들어놨다. 그래서 똑같은 프롬프트를 줘보고, 생성하는 코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한 번 비교해보았다. 우선 간단하게 " load any datasets from huggingface and change it to pandas dataframe" 이란 명령을 줘보았다. 올바르게 실행되는지 돌려보았다. 안타깝게도 실행엔 실패했다. 내가 알기로 to_pandas라는 메소드가 실제로 존재하긴 하는데 왜 작동을 안 하나 살펴봤더니, DatasetDict 에는 to_pandas 메소드는 없다. 아무래도 Dictionary 형태이다 보니 dataframe으로 바꿀 수 없나보다. 정답에 거의 근접하긴 했지만 데이터셋 선정엔 실패한 모.. 2023. 12. 17. 이전 1 다음